대한민국 역대 최장신
농구선수로
알려진 하승진은
현재에는 현역에서 은퇴하여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등
방송인으로 활동 중이다.
대한민국 농구역사에서
유일하게
실제로 로터리픽 되었고
활약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녹여서 현재에는
유튜브의
다양한 소재로 활용 중 :)
.
.
.
현역 때보다
오히려 지금이 전성기라는
평가를 받고있는
하승진의 선수 커리어를
깔끔하게 돌아보자 :)
하승진의 아버지와 누나는
농구선수였고
그도 그러한 피를 물려받아
농구선수가 되었으며
국내 아마추어 무대에서는
그를 상대할 수 있는
라이벌조차 허락되지않았다.
.
.
.
삼일상고 시절,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던
하승진의 모교는
하승진의 합류로 인해
우승권 전력이 되었고
실력은 논외로 두고
키로 이미
씹어먹을 수 있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었기에
발탁되는 기쁨을 누리기도 했다.
.
.
.
결국 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연세대에 진학하여
김태술, 양희종과 함께
연세대의 왕좌를 1년간 누린 후
지금도 회자되고있는
로터리 픽이 되면서
NBA 도전에 나서게 된다.
2004년 NBA 드래프트에서
포틀랜드 유니폼을 입게된다.
사실, 국내는 물론
해외 언론들도 하승진의 절대적인
신장의 장점을 바탕으로
1라운드 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는 시각이 많았지만
결국 예상보다는
낮은 2라운드에 픽이 되었고
이 당시만 하더라도
지금보다는
센터의 가치, 골밑이 중심이 되던
시기라고 보았을 때에
하승진의 신장은 엄청난 메리트.
.
.
.
3년계약을 체결한
하승진은 곧장 12인 로스터에
들지 못했고
부상까지 겹치게 되면서
뒤늦게 NBA에 데뷔하게 되었는데
자신의 생애
기록하며 지금까지도
여기저기에서 예능으로 승화되는
나기도 했다 :)
.
.
.
그는 총 두 시즌 동안
NBA에서 활약했으며 더 길게
써주고 싶지만
쓸 말이 없......
우선적으로
하승진의 장점은 신장이
유일했으며
기본기도 완전하지않은 상황 속에서
세계에서 농구를
가장 잘하는 선수들이 모이는
NBA 무대는 너무 컸다.
.
.
.
포틀랜드에서 두 시즌동안 뛴 후,
밀워키로 이적했지만
사실상 그 곳은
샐캡을 정리하기 위함으로 이적이지
하승진을 선수로
기용하기위한 목적이 아니였고
다시 한 번 방출되면서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길다고 할 수 있는
NBA생활을 마감한다.
허재감독은
여러 번 상위픽 기회를 가지며
운이 좋은 감독이라는
이야기들이 오가고 있던 상황 속에서
2008년 드래프트에서도
1순위를 가져갔고
역시 최장신 하승진을
영입하게 되면서
우승전력을 갖추게 되었는데
여기서 문제는
팀에는 이미 국보급 센터
서장훈이 있었고
베스트5로 함께 나올 때에
팀이 너무 느려진다는 단점이 발생.
.
.
.
실제로 두 선수가
함께 뛸 때의 효율은 떨어졌으며
허재 감독이
두 선수를 각각 쓰는 전술로
어느정도 무마했지만
시즌 전체를 놓고 보았을 때에는
그렇게 긍정적인
요소가 아니였고
결국 서장훈이 트레이드 되면서
.
.
.
하승진의 신장은
KBL에서는
더더욱 괴물이었고
용병도 그를 막기엔 벅찼으며
하승진 역시
조금씩 나이가 들면서
노련한 플레이도 늘어갔다는 것.
확실히 KCC는
하승진의 버프를 받아
성적이 올라갔고
이 때가 KCC의 또다른 전성기라고
충분히 말할 수 있는 시기.
하승진의 신장은
너무나도 위력적이었고
가장 폼이 좋았을 때에는
매경기마다
용병급 활약을 보이기도 했으나
역시 큰 신장의
하드웨어는 무리가 오기 쉬웠고
부상에 노출되면서
결장이 잦아들기도 했다.
.
.
.
결국 KCC는 우승했고
하승진 역시
우승의 주역으로 활약했지만
시즌 전체를 본다면
하승진의 영향력은 굵었지만 짧았고
KCC는 역대급 신장의
대한민국 선수를 가지고 있으면서
안고 가야할 부분이었다.
.
.
.
하승진은 KCC와 계속적으로
협상에 돌입했지만
결국 타협을 이루지 못했고
SNS을 통해
갑작스럽게 은퇴를 선언했으며
구단에서 거의
팀에서 나가라는 식으로
말했다는 발언을 하며 파문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KCC구단에게
의리와 애정이 컸던 하승진은
다른 팀에서는
뛸 의사가 없다는 말을 남기고
대한민국 유일무이
NBA 진출에 성공했으며
2시즌동안 뛰었던 선수이기도 하다.
키가 가진
메리트에 비해서
선수 전체의 커리어는 아쉽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실히 그는 상대에게 위압감을 주는
센터였으며 나름대로
KBL에서 우승반지도 꼈으니
어느정도 이루었다는 평가.
현재에는
현역에서 은퇴하여
유튜버로 활약하고 있으며
오히려 지금이
전성기라는 말을 듣고 있을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이다.
자신의 개인 유튜브 계정에
" 한국농구가 망해가는 이유 " 라는 제목으로
KBL과 한국농구의
현실을 비판하는 영상을 올린 적 있으며
그 영상으로 인해
팬들에게는 호평을 받았고
현직 농구선수(이관희 등)와 관계자들에게는
비난의 목소리를 듣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하승진의
의견이 옮고 용감했다는 반응.
.
.
.
하버지 하동기씨는
203cm의 큰 키를 가진 국대출신이고
사실 실력은 떨어지지만
키가 워낙 커서 뽑힌 케이스라
선수시절, 눈에 띄는 성과나 활약은 없었다.
반면 누나 하은주는
큰 키는 물론이고 센스와 실제
농구 플레이 능력이 좋아
WKBL과 국가대표로써 여러가지
좋은 활약을 보였던 선수로 기억된다.
.
.
.
그...그렇다고 한다.
전면이 아닌 후면부 모델이다.
.
.
.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2020년 10월 5일 기준으로
약 25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있는 유튜버이다.
www.youtube.com/channel/UCINRJxfiq8pXfQm1EucWFfw
하승진
전 농구선수, 현 유튜버 하승진! 항상 즐거움을 드리고 싶은 하승진 유튜브 채널 입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 haseungjin@sandbox.co.kr instagram @seungjin8584
www.youtube.com
.
.
.
NBA 드래프트 2라운드 46순위
KBL 신인왕
KBL 플레이오프 MVP 1회
KBL 베스트5 3회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은메달
통산득점: 4,026점
통산리바운드: 2,978개
통산블록: 389개
2020/09/29 - [스포츠/농구] - 서장훈 국보급 센터 KBL 최고 레전드의 커리어
서장훈 국보급 센터 KBL 최고 레전드의 커리어
대한민국 역대 최고의 센터로 꼽힐 수 있는 선수. KBL 역대 최다득점과 리바운드 기록을 가지고 있는 서장훈은 용병과의 매치업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선수로 기억되는 레전드.
gugu-k.tistory.com
2020/10/07 - [스포츠/농구] - 이승준 덩크머신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혼혈아
이승준 덩크머신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혼혈아
에릭 산드린이란 이름을 가지며 미국에서 농구선수를 했던 그가 KBL로 넘어와 이승준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선수생활을 했으며 화려한 덩크와 거침없는 플레이, 더불어 잘생긴 외모로 많은 팬을
gugu-k.tistory.com
2020/10/07 - [스포츠/농구] - 문태종 KBL 최고의 혼혈선수, 클러치타임 지배자
문태종 KBL 최고의 혼혈선수, 클러치타임 지배자
미국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인으로 미국에서 농구를 시작했지만 전성기 시절, 유럽리그에서 활약했으며 전성기가 조금은 지났다고 판단되는 시기에 KBL에 진출하여 말
gugu-k.tistory.com
2020/10/06 - [스포츠/농구] - 김승현 너무 빨리 저물어버린 천재가드 역대급 임팩트
김승현 너무 빨리 저물어버린 천재가드 역대급 임팩트
KBL 역대 최고의 포인트가드 중 한명으로 꼽히고 있으며 신인 시절부터 환상적인 퍼포먼스를 통해 천재가드라는 칭호를 받았던 KBL 레전드. . . . 전성기가 너무 짧았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그럼에�
gugu-k.tistory.com
2020/10/05 - [스포츠/농구] - 이상민 컴퓨터 가드 KBL 최고의 인기스타
이상민 컴퓨터 가드 KBL 최고의 인기스타
현재 삼성 썬더스의 감독으로 자리하고있는 이상민은 컴퓨터 가드라는 별명답게 완벽한 조율과 경기력을 바탕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농구선수. KBL 역대 최고의 포인트가드 중 한명으로 꼽히�
gugu-k.tistory.com
김승현 너무 빨리 저물어버린 천재가드 역대급 임팩트 (0) | 2020.10.06 |
---|---|
이상민 컴퓨터 가드 KBL 최고의 인기스타 (0) | 2020.10.05 |
서장훈 국보급 센터 KBL 최고 레전드의 커리어 (0) | 2020.09.29 |
오리온 이대성 유재학에게 고마움 전한 이유 (0) | 2020.09.28 |
크리스 웨버 시대를 앞서갔던 다재다능 포워드 + 잘생김 (0) | 2020.09.17 |
댓글 영역